728x90
반응형

편인 14

육신의 속성 - 정인과 편인의 충효

인성 印星은 육친(六親)의 발생(發生)지로서 인연(因緣)이 처음 생겨나는 자리와 같다. 그 인연이 나에게 이롭다하여 좋은 것이고, 불리하다 하여 흉한 것이 아니다. 모두 소중하고 귀하여 감히 평가하기 힘든 것이다. 그리고 삶의 첫 인연이 시작된 자리이므로 언약(言約)과도 같으니 충효(忠孝)가 이곳에 있다. 그러므로 印星이 官殺을 지키는 것을 충(忠)이라고 하며, 日干이 印星을 지키는 것을 효(孝)라고 한다. 比劫이 印星을 지키는 것은 효(孝)가 아니다 라고는 할 수 없지만, 후천적으로 지킬 것이 생긴 것이니 같지는 않다. 인연은 타고나기는 쉽지만, 지키기는 힘들 것이며, 정성(精誠)을 담기는 더욱 힘들 것이다. 하지만 정성 없는 인연은 가식(假飾)이 되고, 지키지 못하는 인연은 원망(怨望)이 된다. ① ..

육친 2020.12.22

편인

편인▶ 편인은 일간과 음양이 같아서 엄마의 모성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곡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계모의 성분이라고 합니다. 인성은 한없는 사랑과 베풂을 주지만 편인은 사랑과 베풀을 주고 싶지만 나의 주위 환경이나 가정이 어려운 상태가 되므로 해서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이 떨어져 살아서 항상 동생들을 돌보느라 나는 부모님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라습니다. ▶ 아버지와 떨어져 살아서 실제로 계모가 많았음▶ 월지 편인이라 부모님의 애로 사항이 있다.▶ 사주 명식에서 궁과 대운이 자극인이 되어 부모님의 불화와 경제적인 궁핍함으로 공부도 잘 안되었고 간신히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눈칫밥도 ..

육친 2020.12.01

육신(육친)

▣ 육친 比食財官印我(비식재관인아) 比 : 같은 오행의 글자 食 : 내가 生하는 글자 財 : 내가 剋하는 글자 官 : 나를 剋하는 글자 印 : 나를 生하는 글자 我 : 일간(日干)의 글자 ※ 육신(六神)의 생극(生剋) 我剋財 아극재 財剋印 재극인 印剋食 인극식 食剋官 식극관 官剋我 관극아 我生食 아생식 食生財 식생재 財生官 재생관 官生印 관생인 印生我 인생아 ※ 육친(六親) 比(비) - 형제, 자매 食(식) - 여자에게 자식 財(재) - 아버지 배우자 처 官(관) - 남자에게는 자식, 여자에게는 남편 印(인) - 모(母), 모친의 자애, 명예, 학문, 문서 육신(六神)을 공부하는 목적은 성패(成敗)를 판독하는 단계에 이르기 위한 과정이다. 현대 명리에서는 格局을 정하는 원칙이 月支 장간(藏干)만이 아니고..

육친 2020.11.28

육친론

▣ 육친론 1. 비견(比肩) 비견(比肩) 比 - 견줄 비 / 肩 - 어깨 견 비견(比肩)이라함은 어깨를 견주다라는 뜻이다. 즉 나와 동등한 입장의 형제, 자매, 친구, 동창, 동기 등을 뜻한다. 년주,월주에 비견 겁재가 있으면 형, 시주에 있으면 동생으로 본다.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나와 같은 세력이 많으므로 본인의 주장이 강하고 자존심도 쎄다. 비견이 극하는 재성은 나에게는 재물이요 육 친으로는 아버지,아내에 해당되는데 비견이 강한 남명은 아내를 극하기 쉽고, 남여모두 재물이 들어와도 돈을 모으기 쉽지 않으며, 아버지와의 사이도 좋다고 볼수 없다. 비견이 많을 시에는 투쟁 시비가 잘 생기며, 사기도 잘 당할수 있으며 동업시에는 금전적인 손해를 볼수 있다. 비겁이 강하면 부친과 떨어져 살아야하고 비견이 ..

육친 2020.11.03
1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