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재극인 46

달라이라마 어록

-달라이라마 어록 남을 행복하게 하고 싶으면 자비(慈悲)를 베풀라. 자신이 행복해지고 싶으면 자비(慈悲)를 베풀라. * 행복이란 이미 만들어진 무언가가 아니다. 행복은 자신의 행동(行動)으로부터 나온다. * 당신 자신이 너무 작게 느껴져서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없다고 생각된다면 한 마리의 모기와 함께 잠을 자도록 해 보라. * 절이 필요 없고 복잡한 철학도 없다. 나의 뇌(腦)와 마음이 나의 절이다. 나의 철학(哲學)은 친절(親切) 함이다. * 가능할 때마다 친절(親切) 하도록 하라. 그것은 언제나 가능한 것이다 . * 우리가 희망을 잃어버린다면 그것은 진정 우리의 재앙(災殃)인 것이다. *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이 때로는 행운(幸運)이라는 것을 기억하라. * 타인이 기대(期待) 하는 것보다 더 많..

일상이야기 2021.04.21

시절인연

♧시 절 인 연♧ - 時節因緣 - 불가 용어에 시절인연 (時節因緣) 이란 게 있다. 모든 인연에는 오고 가는 시기가 있다는 뜻이다. 굳이 애쓰지 않아도, 만나게 될 인연은 만나게 되어 있고, 무진장 애를 써도 만나지 못할 인연은 만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람이나 일, 물건과의 만남도, 또한 깨달음과의 만남도 그 때가 있는 법이다. 아무리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어도, 혹은 갖고 싶은 것이 있어도, 시절 인연이 무르익지 않으면.. 바로 옆에 두고도 만날 수 없고, 손에 넣을 수 없는 법이다. 만나고 싶지 않아도, 갖고 싶지 않아도, 시절의 때를 만나면 기어코 만날 수 밖에 없다. 헤어짐도 마찬가지다. 헤어지는 것은 인연이 딱 거기 까지이기 때문이다. 사람이든 재물이든 내 품 안에, 내 손 안에서 영원히 머무..

일상이야기 2021.04.18

목다화식(木多火熄)

목다화식(木多火熄) ◾목다화식이라 木生火관계에서 나무의 기운이 너무 많거나 습한 木이 많으면 불을 생해 주는 관계가 되기 어려워 불을 지피는 작용이 안 되고 불을 꺼버리니 현상을 말합니다. ◾너무 습한 乙木이 많으면 불을 지피기 힘듭니다. 마른 건초일 경우에 불을 지피기 쉽습니다. ◾생목인 경우에도 너무 많으면 불을 지피기 어렵습니다. 마른지 않는 장작은 불을 지피기 어렵습니다. 장작도 말려서 써야 불을 지피기 쉽습니다. ◾불을 땔 때에도 나무를 한꺼번에 넣으면 공기구멍이 막혀 불이 잘 안 지펴집니다. 나무가 너무 많으면 햇볕을 받기가 어려워 잘 성장하기 어렵고 결실을 맺기가 어렵습니다. ◾乙木(습목), 辰土(습토와 생목의 조건) 多합(나무가 빽빽하게 많은것) 목다화식이 됩니다. 寅,甲木은 목다화식이 아..

음양오행 2021.02.17

재극인의 심리

재극인의 심리 재성은 물질 중심이고 인성은 인간과 정신 중심입니다. 재극인은 정신이 물질의 욕망에게 침해를 당하는 것입니다. 재극인이 되면 어떤 식으로든지 정신적이고 인간적인 면보다는 물질적이고 재물에 대한 욕심이 앞서게 됩니다. ​ 정재는 아끼는 것이라서 작은 돈에도 집착을 하게 되고, 편재는 작은 돈보다는 큰돈에 관심이 많습니다. 정인은 인간적인 면을 중시하게 되고, 편인은 인간적인 면보다는 물질과 재물적인 면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 정재가 정인을 극하는 재극인이 되면 제대로 된 재극인입니다. 정인은 돈과 친하지 않고 돈을 다루는 방법도 서툽니다.​ 정재가 정인을 극하면 작은 돈에 전전긍긍하게 되며 인간적으로 배신을 당하는 것이라서 너가 나에게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는 마음이 들고 그런 상황이 발..

육친 2021.01.27

사주와 오행으로 보는 풍수

오행으로 보는 풍수 1.사주의 오행이 목의 기운이 많은 사람일 경우 주거 풍수일 경우 집안에 화분이 많으면 도리어 상극을 하므로 복의 기운이 많은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2.사주의 오행이 목의 기운이 적은 사람일 경우 주거 풍수일 경우 집안에 화분이나 분재가 많으면 목기운 중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므로 선척적으로 목의 기운이 많은 사람과 같은 변화를 얻을 수 있다. 3.사주의 오행이 화기운이 많은 사람일 경우 사무실의 책상위치가 남쪽을 바라보고 있으면 잠재력이 발휘되지 못한다. 화는 남방의 기운을 뜻하므로 이미 화의 기운이 꽉찬 사람일 경우 도리어 화의 기운에 융화를 못한다. 4.사주의 오행이 화의 기운이 적은 사람일 경우 업무적으로 사무실의 책상위치가 남쪽을 바라보고 있으면 자신의 선천적 잠재력외에 ..

명리기타 2021.01.08

육신의 속성 – 정재와 편재의 경제력

재성(정재. 편재) 財星은 녹봉(祿俸)과 같은 것으로 각 개인에게 돌아갈 월급과 같다. 또한 각자의 재능에 따라 취할 수 있는 세상의 모든 재화(財貨)를 의미하기도 한다. 운명학에서는 財生官과 財生殺에 의한 財星은 녹봉으로 간명하며, 그 외는 재능에 따라 벌어드리는 재화로 판단한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판단기법의 다양성과 개인적 능력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사회적 현상에 의하여 日干의 능력에 따라 지급받는 녹봉과 벌어드리는 재화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명법은 접근을 쉬우나 다양성 때문에 간명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가령 偏財의 경우 財生殺을 녹봉으로 간명한다면, 日干이 根旺하면 각 개인별 벌어드리는 재화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正財의 경우도 財生官이 되면 녹봉이 되지만, 日干이 印星으로 身旺..

육친 2020.12.23

육신의 속성 - 정인과 편인의 충효

인성 印星은 육친(六親)의 발생(發生)지로서 인연(因緣)이 처음 생겨나는 자리와 같다. 그 인연이 나에게 이롭다하여 좋은 것이고, 불리하다 하여 흉한 것이 아니다. 모두 소중하고 귀하여 감히 평가하기 힘든 것이다. 그리고 삶의 첫 인연이 시작된 자리이므로 언약(言約)과도 같으니 충효(忠孝)가 이곳에 있다. 그러므로 印星이 官殺을 지키는 것을 충(忠)이라고 하며, 日干이 印星을 지키는 것을 효(孝)라고 한다. 比劫이 印星을 지키는 것은 효(孝)가 아니다 라고는 할 수 없지만, 후천적으로 지킬 것이 생긴 것이니 같지는 않다. 인연은 타고나기는 쉽지만, 지키기는 힘들 것이며, 정성(精誠)을 담기는 더욱 힘들 것이다. 하지만 정성 없는 인연은 가식(假飾)이 되고, 지키지 못하는 인연은 원망(怨望)이 된다. ① ..

육친 2020.12.22

음양오행 - 木.火.土.金.水

음양 우리는 陽을 남자 陰을 여자라 한다. 틀린말은 아니다. 양은 木火의 기운(발산) 음은 金水의 기운(수렴) 양은 하지 음은 동지 이 두 기운이 만나 온도를 주관하는 寒暖(한난 - 춥고 따뜻)이 되고 땅에는 습도를 주관하는 燥濕(조습 – 건조 습한)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4계절을 이룬다. 양이 남자라면 마땅히 여자를 보호해야 할 것이며 여자가 음이라면 마땅히 남자의 보호를 받아야 할 것인데 1.오행 - 木 오행은 木 火 土 金 水 木인 나무는 甲木과 乙木이 있습니다. 나무는 金生水한 水의 기운이 水生木하고 丙火가 나무에 꽂을 피워 木生火해서 열매를 맺어 결실을 얻고 火剋金한 열매가 씨앗을 맺어 다시 겨울을 준비한다. 봄의 나무 여름의 나무 가을의 나무 겨울의 나무가 다 다르다. 봄의 나무는 혹독한 겨..

음양오행 2020.12.02

편인

편인▶ 편인은 일간과 음양이 같아서 엄마의 모성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왜곡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계모의 성분이라고 합니다. 인성은 한없는 사랑과 베풂을 주지만 편인은 사랑과 베풀을 주고 싶지만 나의 주위 환경이나 가정이 어려운 상태가 되므로 해서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 같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이 떨어져 살아서 항상 동생들을 돌보느라 나는 부모님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라습니다. ▶ 아버지와 떨어져 살아서 실제로 계모가 많았음▶ 월지 편인이라 부모님의 애로 사항이 있다.▶ 사주 명식에서 궁과 대운이 자극인이 되어 부모님의 불화와 경제적인 궁핍함으로 공부도 잘 안되었고 간신히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눈칫밥도 ..

육친 2020.12.01

丙火論

▣ 丙火論 丙火는 태양의 火가 되기 때문에 만물을 길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육자가 많다. 壬水와 동반자가 되어 수화기제를 이루어야 좋다. 壬甲중에 한자만 있어도 좋다. 壬은 귀를 갑은 부를 가져온다. 木火로만 구성되면 기술자나 전문직에 종사하고 남자는 庚辛金이 투출하면 주색에 빠진다. 여자는 계돈놀이로 망하고 결국 가난하게 된다. 잘난 척을 잘하고 丑이 있으면 고집이 세다. 丙火는 丁火에 뿌리를 두기 때문에 未戌巳午火에 뿌리를 둔다. ​ 春(봄) 만물이 소생하고 발육하는 시기이므로 만물을 생육하는 丙火로서는 때를 만난 것이다. 그러나 서서히 떠오르는 태양이므로 단번에 기를 수는 없고 희망과 포부를 주며 점차 힘을 갖게 된다. 丙火의 본분인 甲乙木을 기르기 위해서는 壬水가 반드시 필요하고 辰土가 있어..

음양오행 2020.11.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