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광명진언 47

육친의 핵심 키워드

육친의 핵심 키워드 비견 : 방향성이 같다. 형제, 친구, 상호부조, 친교행위 우의(友義), 동업, 협조, 분배, 지출, 소비, 남의 걱정 비밀성의 유지, 자의, 낭비, 순행성, 협동분배 배기량, 경쟁자 호쟁(好爭), 경쟁의 논리 겁재 : 방향성이 다르다, 경기에서 다른 편, 이복형제 성이 다른 형제, 손재 불화, 배신, 투쟁, 동료 파란 적대 감정, 강탈, 차압, 부도, 우환, 폭력, 변덕 타의 분배, 여행성, 맞은편 차, 강력한 경쟁자 배신의 논리 식신 : 아들(女) 장모(男) 총명, 문학, 탐구, 개발 문창(文昌) 문과, 사색, 천연과일, 지혜, 덕망 장수, 교육의 별, 행복의 별, 관대, 수긍 설득 대화, 창의력, 유통, 엑셀레이터, 무궁화 상관 : 인공과일, 헛꽃, 낙과, 딸(女) 자존심, 총명..

육친 2022.05.14

정인. 편인의 통변

정인, 편인 통변술 인성이 혼잡되면 공부를 싫어한다. 학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인성이 많으면 부부 인연이 얕고 해로하기 어렵고, 여자는 자식이 없거나 남편을 극한다. 사주에 있는 인성을 대운에서 刑 沖하면 어머니와 분리나 생사이별이 따른다. 인성이 합을 많이 하면 정에 약하다. 인성이 혼잡되었는데 재성이나 관성이 없으면 성격이 편협하다. 그릇이 작아 큰 일을 도모하지 못한다. 인성 + 식상 (원국에서 천간 合) - 어머니와 분리, 생사이별이 따른다​​​​​​. (공통) - 아들을 낳은 후엔 고부갈등이 따른다. (女) - 자식과 상극되어 분리가 따른다. (女) ​인성 + 재성 (원국에서 천간 合) - 고부 갈등이 심하며 아내와 어머니 사이를 갈라놓고, 부모에게 분리나 생사이별이 따른다. (男) - 부모가 ..

육친 2022.05.11

정재. 편재의 통변

정재, 편재 통변술 재성이 많으면 어릴 때 죽을 고비를 넘기고 대운까지 재관운으로 흐르면 목숨이 위태롭다. ​신약사주가 재가 많으면 부부 인연이 약하고, 재물을 모으기가 어려워 빈한하다. 여자가 일주는 약한데 재관이 왕하면 결혼 후 시집은 흥하나 친정은 망한다. 남자가 재성이 천간합이 되면 색난이 떠나지 않는다. 겁재가 재성을 천간합 하면 재물을 모으기가 어렵다. 남자가 재성이 많으면 여러 여자와 인연이 있다. 결혼 후에도 재물 손실, 질병, 부부 갈등, 분리 등의 액이 따른다. 재가 많으면 수입보다 지출이 많다. 남자가 재성이 공망되면 아내와 이별하거나 초혼에 실패하고 재혼하는 경우가 많다. 남자가 재성이 다른 주(柱)의 육친과 천간합이 되면 본처와 해로하기 어렵고, 아내로 인하여 재물손실이 따른다.

육친 2022.05.06

비견. 겁재의 통변

비견, 겁재의 통변술 비겁이 刑 沖 되면 형제, 자매 간에 싸움이 그치질 않는다. 비겁이 대운이나 세운에서 刑 沖 되면 형제나 친구 등 대인관계에서 시비, 구설, 쟁투가 따른다. 비겁이 많은데 합 마저 많으면 정에 약하며 음란하다. ​​​​ 비겁이 대운이나 세운에서 합이 되는 육친에게는 생사이별이 따른다. 비겁 ​​+ 재성 (원국에서 천간合) - 어머니가 재혼하고 이복형제가 있다.(공통) - 두 여자에게서 자식을 얻는다.(男) ​ - 나의 재물과 처첩을 형제나 친구에게 빼앗긴다.(男) - 처첩이 많으며 색난을 당한다.(男) 비겁 + 관성 (원국에서 천간合) - 여러 여자에게서 자식을 낳는다.(男) - 본 남편과 해로하기 어렵다. 부부간에 분리, 이혼, 생사이별이 따른다.(女) - 형제처럼 지내는 사람에게..

육친 2022.05.04

통변의 활용 - 상관

통변의 활용 상관은 상대성 원리에서 정관을 극하고 상하게 하는데 정관은 남자에 게는 자식이요 여자에게는 남편 星(성)에 해당하기도 한다. 상관은 남자는 조모요 여성은 자식 星(성)으로 호칭되는데 人事(인사) 에서는 할머니가 많으면 흉신으로 본다. 그 이유는 상관인 할머니는 자기 아들인 편재를 돕기 위해 나의 피를 빨아 내어 편재를 도와주기 때문에 나는 혈기가 없고 허기진 사람처럼 정신이 몽롱하고 몸은 바짝 마르고 신경질은 나고 아무것도 눈에 안보이며 거만 무례하고 또 상관이 많으면 관성을 극하고 상하게 하니 자식도 없고 직업도 없는 형편에 처하게 된다. 여자에게는 상관이 아들인바 상관이 많으면 정관인 남편을 극하고 상하게 하니 어찌 남편이 편안히 살 수 있겠는가? 남편이 죽고 없으니 다시 재가하게 되며 ..

육친 2022.05.03

통변의 활용 - 식신

통변의 활용 식신은 상대성원리에서 편관을 극하고 상하게 하니 편관은 남자는 자식이고 여자는 남편 星(성)에 해당하기도 한다. 식신은 남자는 장모이고 생식기에 해당하며 여성은 자녀 星(성)으로 호칭되는데 人事(인사) 에서는 이 식신성이 많으면 좋다고 하나 사주통변설에서는 남성은 장모, 여성은 자식이 많으면 흉신으로 보게 된다. 그 이유는 남성은 장모가 많아 一身(일신)이 고단한 중에 이 식신성 이 많으면 본인의 精氣(정기)를 너무 설기하여 妻(처)되는 자기 딸을 도와주니 자신은 항상 기진맥진해지며 또 자신의 자식인 관성을 극 하고 해하니 자녀가 극되어 無子(무자)하고 용맹과 직업과 大業(대업) 을 꺽어 버리니 신약해 져서 무기력한 남자가 되어 버리고 말기 때문 이다. 또 식신이 많으면 나의 아들되는 편관을..

육친 2022.05.02

통변의 활용 - 겁재

통변의 활용 겁재는 상대성원리에서 정재를 극상하고 정재는 처의 성에 해당하기도 한다. 겁재는 자매, 형제 성으로 호칭되며 인사에서는 자매, 형제 가 많으면 좋으나 사주통변설에서는 자매, 형제가 많으면 흉신으로 본다. 그 이유는 겁재는 정재를 극하고 상하게하며 비견은 편재를 극하고 상하게하기 때문이다. 겁재가 많으면 처가되는 정재를 극하고 상하게 하니 처가 견딜수가 없으므로 결혼도 잘 안될분만 아니라 결혼 하나 마나 처를 극하는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니 다처를 거느리고 자식도 이복자식을 데려와야 하며 아니면 외방에 자식을 두 게 된다. 겁재는 재물인 정재를 극하니 가난하게 살아야 하고 하는 일마다 실패 하니 무엇하나 남는 것이없다. 월지, 일지에 겁재가 있으면 자존심이 강대하며 타인을 비하하는 하천한 성질..

육친 2022.04.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