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편인도식 54

노처녀 명의 특징

+ 노처녀 명의 특징 1. 식상이 많다. - 남자를 친다. 2. 인성이 많다. - 남자한테 바라는게 많다. 3. 재성이 많다. - 남자의 경재력을 지나치게 따진다. 4. 비겁이 많다. - 친구들이 반대가 많다. 또는 자신의 고집 때문에 망친다. 5. 형살이 있다. - 스스로 안 좋은 방향으로 나간다. 6. 도화가 있다. - 이성에게 인기가 많다. 7. 귀문관살 있다. - 엉뚱한 짓을 한다. 8. 천라지망살 있다. - 자신의 주체를 모르고 행동한다.

명리기타 2020.11.11

재다신약

▣ 재다신약 재다신약은 재성이 강하여 신약한 경우이다. 재다신약사주는 조직에 가면 미관말직이다. 재다신약사주는 남을 보좌 하거나 참모 사무장. 사감. 2인자 역할을 해야 한다. 남자는 돈많은 부인을 얻어야 한다. 남자는 부인이 돈이 없는 사람이면 능력있는 부인을 얻어 부부와 같이 일을 하는 것이좋다. 재다신약은 관성이 용이 된다. 재다신약은 식상운이 오면 망조가 들어 거만해지거나 지나친 확장으로 인하여 패망한다. 재다신약 사업자는 식상운에 망한다. 재성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이다. 재다신약은 경거망동을 해서는 안된다. 지나친 우월감으로 인하여 조직에서 쫒겨나거나 참모자리에서 밀려날수 있다. 항상 잘나가는 사람옆에 가야 한다. 2인자 역할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 재다신약은 대게 남들에게 미움을 받거나 질투의..

육친 2020.11.11

영주 봉황산 부석사

영주 봉황산 부석사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부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로서, 한국의 건축가들이 뽑은 가장 아름다운 건물인 무량수전이 있는 곳이다. 고려시대의 목조건물로 오랜 역사도 지니고 있지만, 볼록한 배흘림기둥과 사뿐히 고개를 든 지붕의 아름다운 추녀 곡선은 한국미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부석사는 통일신라시대 676년(문무왕 16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십찰의 한 곳이기도 하다. 고려시대에 들어 원융(964~1053년)이 절을 크게 중창하였고, 1358년(공민왕 7년)에 왜적의 침탈로 가람의 일부가 소실되기도 하였다. 1376년(우왕 2년)과 이듬해에는 원응국사 천희가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중수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절 이름을 선달사(善達寺)..

사찰 2020.11.07

설악산 오세암

설악산 오세암 오세동자가 성불한 곳, 설악산 오세암 강원도 속초에 위치한 설악산. 선이 굵은 살아 있는 산의 모습과 그 생생함이 산 매니아들로 하여금 희열을 느끼는 등산을 꿈꾸게 한다. 설악산은 어느 들머리에서든 정상 대청봉까지의 거리는 상당한 거리라서 쉽게 오르지 못한다. 하루 일정으로는 다 오르지 못하기에 일 부 구간을 선택하여 오르기 마련인데, 이번에는 설악산 등산로 중에서도 기본적인 코스인 백담사를 거쳐 오세암에서 1박하고 봉정암을 참배하고 영시암으로 내려오는 일정을 잡았다. 절세미인이 숨어 산다는 속설이 전해오는 설악산의 중턱, 만경대에 오르면 앞을 봐도 산이고, 뒤를 봐도 하늘 아래의 산들이 펼쳐져 있다. 만경대를 뒤로 하고 걸음을 재촉하다 보면 금세 눈앞에 나타나는 암자, 아늑한 맛이 느껴지..

사찰 2020.11.06
728x90
반응형